지역사회복지론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10강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
ü 사회복지와 가치
ü 가치의 명료화
ü 윤리적 결정의 접근방법
사회복지와 가치
• “아마도 철학을 제외하면, 사회복지 전문직만큼 가치의 문제에 깊이 관심을 갖는 전문직은 없을 것이다.” (Brown, 1968)
• “사회복지사들은 ‘가치에 둘러싸인 사람들’이다.” (goldstein, 1973)
• ‘사회복지의 가치는 실천의 기반이다.” (vigilante, 1974)
• “사회복지의 도덕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회복지실천의 핵심이 되는 도덕적 성격을 알아야 한다.” (Imre, 1989)
• “전문적 실천가들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가치를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Frank, 1968)
• “의미에 대한 추구는 쾌락에 대한 추구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Frankl, 1968)
• è사회복지실천에 있어 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전문가 가치
• 사회복지실천가들은 사회의 가치로부터 전문가 가치를 취한다.
• 강조점, 우선순위, 해석에 있어 중요한 차이가 난다.
• 사회복지의 중심 가치
(미 사회복지교육협의회 출간 교과과정 정책안)
•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적 관계는 개인의 가치와 존엄에 기초하며, 상호 참여와 수용, 비밀보장, 정직 그리고 책임있는 갈등관리 등을 통해 발전한다.
• 사회복지사들은 개인이 독립적으로 결정할 권리와 원조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인언트 체계가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도록 원조할 책임이 있다.
• 사회복지사는 사회제도를 보다 인도적이며 인간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존중하고 수용해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자신이 행한 윤리적 행위와 실천내용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가치, 윤리, 도덕
• 가치와 윤리는 종종 혼용되지만, 그 뜻이 같은 것은 아니다.
• : 윤리는 가치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 가치 : 좋다(good), 바람직하다(desirable)
• 윤리 : 옳다(right), 바르다(correct)
• 가치와 행동의 불일치
§ 전문직 가치는 때로는 사회 가치와 다를 때가 있다.
§ 공적인 가치와 사적인 가치가 있을 수 있다.
• 도덕 : 윤리의 내면화된 실천적 사회규범
• 전문가 윤리
§ 전문가 윤리는 일반적 사회윤리와 같지는 않지만 서로 밀접하다.
§ 우선순위, 의도, 적용, 강조점 등에서 차이가 난다.
§ 사회윤리,전문가윤리 모두 평등의 원리 강조한다.
§ 전문가 윤리는 클라이언트의 이익에 우선순위를 둔다.
가치의 범주
• 가치는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의 중요한 요소이다.
• Levy(1967) “윤리는 행동화된 가치이다.”
• 개인적 가치 individual or personal values
§ 한 사람에게는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중요하지 않은 가치
• 사회적 가치 social values
§ 전체 사회체계 혹은 적어도 그 체계의 지도층 내지는 대표집단에 의해서 인정된 가치
• 전문가 가치 professional values
§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 인정된 가치
• 이 세 가치는 때로는 갈등하지만 서로 보완·상호적이다.
• 해석, 우선순위, 강도의 측면에서 대부분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불일치는 그리 흔하지 않다.
가치 명료화
l 개인의 가치 명료화
• 개인의 문화적 경험과 배경은 그 사람의 윤리적 의사결정의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 Dunkel & Hatfield(1986) 연구
§ 사회복지사에게 있는 무의식적인 개인의 가치와 편견은 성병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클라이언트를 돕는 전문가로서의 행위에 방해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è암환자, 동성애자, 미혼모와 같은 클라이언트 개입시 유사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가치를 신중하게 들여다 보고 이를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정의하여야 한다.
• 반대자들 그리고 논점들
§ 전문적 서비스에서 개인적 가치의 중요성이 필요한가?
Ø 전문적 가치와 개인적 가치가 그렇게 크게 갈등하지 않는다.
Ø 개인윤리를 배제하는 게 윤리적인가?
§ 윤리문제는 직관·본능적으로 알 수 있다
Ø 느끼는 대로 하는 것은 아니다.
l 사회의 가치 명료화
• 사회의 가치는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윤리의 지침을 제공해 준다.
• 전문가의 사회적 규범에 모순되는 결정이 정당화될 수 있다.
• 이 모든 것에 앞서 우선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명료화해야 한다.
• 사회적 가치는 오랜 세월 속에서 변하거나 사라지기도 한다.
• 안다는 것은 이런 가치들을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게 아니다. à 오히려 의사결정시 문제상황을 정확히 고려하여 사정해야 한다.
• 과거에 받아들이지 않은 가치를 받아들이거나, 새로운 가치에 대한 다양한 집단들이 있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l 전문가의 가치 명료화
•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는 사회적 가치에서 나온다.
• 그러나 전문직 가치는 강조점, 해석, 우선순위에서 사회적 가치와 차이가 있다.
• 사회복지 가치체계는 본질적으로 개인과 집단의 목적을 성취하도록 돕는 민주적인 윤리가 반영되어 있다.
• 집단 및 지역사회의 권리와 개인의 권리 사이에서 정확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다.
• 윤리적 지침이 없다면 이런 상황은 더욱 문제가 된다.
의도적 변화 매개 역할
• 사회복지사업
§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실천과 운동
• 사회복지사
§ 이를 이루기 위하여 개인, 가족, 집단, 사회구조 환경의 변화를 의도적으로 도모하고 계획적으로 노력하게 된다.
§ 이런 노력의 타당성에 대한 질문에 접하게 된다.
§ 사회복지사가 선택하는 것은 전문직 윤리성과 관련성을 갖는다.
• 전문가 윤리강령으로서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 전문가로서의 기본자세
§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 사회복지사의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 사회복지사의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 사회복지사의 기관에 대한 윤리기준
§ 사회복지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윤리적 결정의 접근방법
• 현실적 접근방법
§ 그 사회의 일반 사회적 윤리와 전문적 윤리를 거의 동일시
§ 크게 문제시 되는 경우가 없다
• 인본주의적 접근방법
§ 이상주의적 성격을 띠면서 사람마다 개인적 결정의 중요성과 개인적 선택의 기회부여를 선호하는 입장
§ 사람을 근본적으로 긍정적인 존재로 봄으로써 클라이언트 스스로가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본다.
• 상황적 접근방법
§ 윤리적 결정을 그것은 요구하는 특정 상황을 벗어나서 생각할 수 없다고 본다.
§ 절대적 지침은 없다고 본다.
• 종교적 접근방법
§ 신(神)만이 가치를 결정 à 절대적 가치와 윤리
윤리원칙과 딜레마
• 윤리원칙은 윤리강령의 토대가 된다.
• 사회의 다양성·복잡성·변화로 말미암아
바람직하고 올바른 선택이
단순하지도 분명하지도 못한 것이 현실이다.
• 정직성
§ 일반적 사회관계의 기본으로 너무나 당연하다à윤리강령 포함 안됨
§ 진실은 항상 도움이 될까?
§ 오늘날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은 정직하지도 않고 있는 그대로 말하지도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거짓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복지와 건강에 더 큰 그리고 더 심각한 위험을 막기 위해서 선택된다(Reamer, 1982).
Ø 더 크고 심각한 위험의 기준은?
Ø 그것을 알면서도 클라이언트에게 알리고 자기결정을 하게 하는 것이 옳은가?
•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 모든 사람이 자신의 생활과 관련된 결정을 스스로 결정한 권리를 갖는다.
그러나 전문적 개입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은 한계를 갖는다.
§ 클라이언트가 우선적이라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치료적 입장에서 사회복지사가 책임성을 갖고 나가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 비밀보장
§ 비에스텍(Biest다, 1957)은 비밀보장을 개별사회사업의 중심적인 기본원칙으로 보았다.
§ 사회복지사들은 효과적인 서비스를 위하여 수퍼바이저나 동료에게 협의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누출하게 된다. 이는 정당한가?
§ 비행을 저지른 청소년은 비밀을 요청했는데, 이를 고발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중병을 가족에게 알리지 말라고 하는데…
• 사회복지사의 책임성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의 활동과 서비스에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동원하여 효과적이고 질적으로 하여야 한다.
§ 그런데 전문적 기능을 강조하면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 양자 사이의 적절한 기준은 무엇인가?
§ 소속기관의 방향과 클라이언트의 필요에서 누구를 대변해야 하나?
• 자원공급의 공평성
§ 사람은 누구나 사회적 혜택을 공평하게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 그러나 자원은 한정적이다.
§ 인력도 한정적이다.
§ 누구에게 먼저 자원/인력을 배분해야 하는가?
정리
• 윤리적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 한국의 경우, 윤리강령의 토착화가 아직 미비한 시점에 있다.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 윤리강령이 윤리적 선택에 지침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
• 윤리강령이 완벽하게 작성된다 할지라도 실천과정에서는 모호성과 딜레마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끊임없이 고민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 수고하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