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미국 사회복지사윤리강령 Code of Ethic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Approved by the 1996 NASW Delegate Assembly and revised by the 2008 NASW Delegate Assembly The 2008 NASW Delegate Assembly approved the following revisions to the NASW Code of Ethics: 1.05 Cultural Competence and Social Diversity (c) Social workers should obtain education about and seek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ocial diversity and .. 더보기
10강 사회복지전문직 가치와 윤리 지역사회복지론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10강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 ü 사회복지와 가치 ü 가치의 명료화 ü 윤리적 결정의 접근방법 사회복지와 가치 • “아마도 철학을 제외하면, 사회복지 전문직만큼 가치의 문제에 깊이 관심을 갖는 전문직은 없을 것이다.” (Brown, 1968) • “사회복지사들은 ‘가치에 둘러싸인 사람들’이다.” (goldstein, 1973) • ‘사회복지의 가치는 실천의 기반이다.” (vigilante, 1974) • “사회복지의 도덕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회복지실천의 핵심이 되는 도덕적 성격을 알아야 한다.” (Imre, 1989) • “전문적 실천가들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가치를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Frank, 1968) •.. 더보기
13강 프로그램평가조사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13강 프로그램 평가조사 ü 프로그램 평가의 방법 ü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 ü 성과평과와 과정분석평가 프로그램 평가의 방법 1.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과 필요성 ●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정의들의 공통점을 보면 ① 프로그램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 즉 목적과 목표에 대한 달성 여부의 가치판단과 이에 대한 정보획득이 주임이 된다. (성공에 대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② 평가는 프로그램의 시작, 진행 그리고 종결과 그 후에 이르는 프로그램 전 과정과 목표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가치판단적 관여를 하는 것이다. (과정평가와 총괄평가) (재가복지의 경우 단위 프.. 더보기
9강 사회복지윤리 지역사회복지론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9강 사회복지윤리 ü 사회복지윤리의 개념 ü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문제 ü 윤리와 가치 사회복지윤리의 개념 • 사회복지윤리의 의의 § 인간과 사회의 변화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인간과 사회의 가치와 윤리에 벗어난 결정을 할 수 없다. § 윤리에 기초한 결정만이 진정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 실천상의 모든 결정에는 윤리적 측면이 있다. • 성숙한 도덕의식이 결여된 사회복지사 § 실천상의 윤리적 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 § 실천상 윤리적 문제는 인식하더라도 그 문제들에 대한 부적절한 지식과 가치판단, 편견, 비효율적 판단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한다. § è이런 이유로 사회복지사들은 실천이슈에 도움이.. 더보기
14강 여러 사회서비스법 사회복지법제론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14. 여러 사회서비스법 아동복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영유아보육법, 한부모가족지원법, 다문화가족지원법,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아동복지법 • 목적(제1조) 이 법은 아동이 건강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고 안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아동의 복지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빈곤아동, 보호자가 없는 아동 등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 아동이 가진 문제해결과 동시에 건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극적인 목적을 가진다. • 기본이념 (제2조) 첫째, 아동은 자신 또는 부모의 성별, 연령, 종교, 사회적 신분, 재산, 장애유무, 출생지역, 인종 등에 따른 어떠.. 더보기
12강 욕구조사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12강 욕구조사 ü 욕구조사의 개념 ü 욕구조사의 방법 ü 욕구조사의 문제와 개선점 욕구조사의 개념 1. 욕구조사의 실태와 필요성 (1) 욕구조사의 현주소 ● 우니 나라에서 최초로 시작된 욕구조사는 1970년대 초 캐나다 유니테리안봉사회에서 실시한 3개 사회복지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 욕구조사는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이며 빈도분석을 하였다. → 선호도만 조사하였기에 엄밀한 의미에서 욕구파악 조사는 아니다. ● 그런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선호도 중심 조사를 하였다. ● 1990년대 이후 사회복지관이 급증하면서 욕구조사 횟수가 크게.. 더보기
8강 재가복지서비스와 주민참여(업데이트) 자료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자격에 대한 내용 수정 학사 자격이 있는 사람은 2급 취득과 동시에 1급 시험 응시 가능 그렇지 않은 경우는 2급취득 후 1년간 실무경력이 있어야 함 다만, 3급을 취득한 후 3년 실무를 볼 경우 바로 응시가능 지역사회복지론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8강 재가복지서비스와 주민참여 ü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 ü 노인 재가복지서비스 ü 주민참여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 사회서비스란 – 일반적인 의미에서 개인 또는 사회전체의 복지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 공공행정(일반행정, 환경, 안전), 사회복지(보육, 아동, 장애인, 노인보호), 보건의료(간병, 간호), 교육(방과후활동, 특수교육), 문화(도.. 더보기
13강 사회서비스법 자격의 종류 시험의 자격 사회복지법제론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13. 사회복지서비스법 사회서비스법의 특징, 사회복지사업법 등 사회서비스법의 특징 • 사회서비스법이란 사회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법이다. • 사회서비스란?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 제4호) – 국가, 지방자치단체, 민간부분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국민에게 – 복지, 보건의료, 교육, 고용, 주거, 문화, 환경 등의 분야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 – 상담, 재활, 돌봄, 정보의 제공, 관련 시설의 이용, 역량 개발, 사회참여 지원 등을 통하여 –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지원하는 제도 • 법개정 전에는 사회서비스의 대상을 경제적·사회적 약자, 저소득층 중심으로 보았는데, 법개정을 통하여 모든 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