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
이수천 / 사회복지통계연구소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이론적 접근의 필요성
• 현장에서 이주민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를 생각하려면 이들의 문제를 어떤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해할 것인가를 먼저 생각하여야 한다.
•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서 유능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사는 자신이 개인적으로 가진 문화적 둔감성, 편견, 오해 등 개인적 차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사회복지 조직과 제도가 단일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그리고 사회 전체가 내포하고 있는 가치관과 사회정책이 민족중심적 단일문화주의에 기반하고 있다면 문화적 배경을 달리하는 집단에게는 억압적일 수 밖에 없다. 이들을 위한 대변자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관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주의 자발성에 따른 이주민과 토착민
최근 국제적 이주의 경향
문화변용 acculturation
문화적응의 심리적 차원
• 새롭게 접하는 문화적 맥락에 적합한 새로운 행동 유형을 찾거나 배워가려는 개인적 시도와 노력에 관한 개념들
– 행동의 변화 behavioral shift
– 문화학습 cultural learning
– 사회기술의 습득
– 문화적 탈피 혹은 허물벗기 cultural shedding
• 문화적응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 유형의 변화를 쉽사리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 : 문화갈등
– 문화충격 cultural shock
– 문화적응 스트레스 acculturation stress
적응 adaptation
이주민 사회에 관한 거시이론
• 민족국가 개념은 역사, 언어, 종교를 공유하는 민족 집단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사실상 제대로 이론적 틀에 맞는 민족국가는 거의 없었고 대부분 다민족, 다인종이 혼합된 다민족 국가였다.
• 다민족/다문화 사회에서의 가장 중요한 고민
“어떻게 통합해 가는가?”
è 다원주의 pluralism vs. 동화주의 assimilation
문화다원주의와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사회에서의 사회정의
• 정의란 무엇인가?
• 다문화주의 사회는 ‘모든 개인에게 인정된 보편적 권리의 개념을 넘어 어떤 소수집단에 대해서는 특수한 권리와 위상을 포함’하는 것이 됨으로써 결국 ‘다문화적 민권은 차별적인 개념’을 내포하게 된다.
• ‘사회구성원 전원에게 평등한 권리’
‘소수자 집단의 성원을 위한 특수한 권리’
• 경제적 부의 분배적 정의
– 이주민과 이주노동자들은 부의 창출과 소득의 상대적 이점을 위하여 이주를 하지만 이민사회 내에서 이들의 임금과 소득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
– 이들을 위한 부의 분배 정의가 실현되어야 한다.
• 민권적 정의
– 이주민 집단에 대하여 동등한 인권을 보장받도록 하여 이들이 국적이나 인종 등의 배경 때문에 비인권적 처우를 당하거나 최소한의 인간적인 생활조건에서 배제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노력
– 폭력, 성폭력, 임금체불, 업무 중 사고 방임, 자녀교육 기회 배제 등
• 인정적 정의
– 이주민과 내주민 사이의 관계적 차원의 정의
– 상호 간의 존재와 그 정체성의 인정
– 상호배려, 존경, 신뢰의 정서적 교감 확대
동화주의 assimilation
• 사전적 의미 : 비슷하게 되어 가는 과정
• 이주와 관련 : 이주민 집단이 주류 사회에 순응적으로 편입되어 주류 문화를 받아들이고 문화적으로 동질성을 가지게 되는 과정
• 미국인화 americanization
• 전반적으로 / 특정 부분에서만
• 방향성의 딜레마
• 1930년대 시카고학파에 의해 주창되다 1960년대까지 해결되지 않는 인종 간 불평등, 갈등 그리고 민족개념 부활을 설명하지 못하여 퇴조하였다. 1990년대 다시 부활하였으나 기계적 동화론은 포기하였다.
민족중심적 단일문화주의
• 자기 민족 혹은 인종 집단이 세계의 기준이며 다른 모든 집단을 열등하거나 이상한 집단으로 간주하는 경향
• 집단 차원의 편견적 태도 : 전통적 가치관을 지닌 인성, 나약함에 대한 비관용적 태도, 신념과 시각의 경직성, 타인을 용서하지 못하거나 의심하는 인성, 권위적인 것에 대해서 과도하게 복종하는 유형 등의 인성
• 인종주의, 성차별주의, 연령차별주의, 이성애주의 등의 억압과 차별과도 연결된다.
• 의식적일 것도 있으며 무의식적인 것도 있다.
소수자 집단
• 소수자를 세부적으로 정의하는 네 조건
– 식별가능성
– 권력의 열세
– 차별적 대우
– 집단의식
• 미국은 앵글로색슨계이며 개신교를 믿는 집단이 주류사회를 이루고 있다. 모든 면에서 저들이 주도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회에서 유태계 미국인이나 일본계 미국인은 소수자일까?
이주정책 관련이론과 이민정책 유형화
• 경제적 경쟁론
– 토착민과 이주민 사이의 경제적 경쟁에 초점을 두고 이민정책을 분석
– 경제적 이익론 / 마르크스주의
• 문화기반론
– 토착민과 이주민 사이의 문화적 갈등이 주요 요소
– 정주민사회 vs. 민족국가, homogeneous vs. heterogeneous, 혈통주의 vs. 출생지주의 등
– 국가 외부적 상황보다는 내부적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갈등의 논쟁에 기반을 두고 정책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 국제관계론
– 국제관계에 초점을 두고 이민정책을 분석
– 국가 간 갈등, 국제조직의 압력
Multicultural Model
•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스웨덴 등
• 이주민 집단의 문화와 관습을 인정하고 이를 유지하도록 지원/장려한다.
• 다양한 민족의 문화를 유입하여 국내에 공존하게 함으로써 갈등을 예방하거나 상회통합을 유지하는 정책이다.
• Salad bowel
• Ethnic mosaic
• Puluralism
Assimilation Model
• 영국, 아일랜드, 프랑스, 이탈리아 등
• 이민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버리고 이주한 지역의 주류문화에 합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 유입국 입장에서는 이민자들을 일방적으로 자국의 문화에 통합시키는 것이다.
• 이런 동화를 기반으로 국적 취득을 허용하거나 국민의 자격을 얻게 한다.
• 과거 식민지정책에서 유래한다.
Differential Exclusionary Model
• 독일, 벨기에, 중동 등
• (한국, 일본, 대만)
• 일반적인 형태의 이민은 허용하지 않는다.
• 외국인을 노동시장의 일부 영역에만 개방하는 정책이다.
• 임시 체류 외국인들에게는 국적 획득, 참정권 불허, 복지혜택 배제 등과 같이 사회정치 영역에는 참여하지 못한다.
• 1960년 독일 임시 이주노동자 제도, 2006년까지 유지되던 한국의 산업연수생 제도, 현재 고용허가제 제도, 일본의 산업연수생 제도 및 인터제도
• 차별배제정책 하에서도 사회 내 모든 영역과 제도가 일관적인 정책 기조를 유지하지는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복지수업 > 현대사회와 다문화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다양성 협약 (0) | 2013.04.28 |
---|---|
관련논문읽어봅시다 (0) | 2013.03.25 |
난민철회와 지역아동센터운영매뉴얼 (0) | 2013.03.22 |
한국다문화관련최신통계자료 (0) | 2013.03.17 |
강의계획안 (0) | 201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