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통계연구소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구물들 그동안의 확술적인 연구물들은 다음과 같다. [업데이트 중이며 논문도 볼 수 있도록 자료를 첨부할 예정입니다.] 3. "그룹홈역량강화사업 효과성 검증" 김형태, 이수천, 2009, 「2009그룹홈역량강화사업」: (사)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자료집, 공동모금회 지원사업임 그룹홈협의회가 공동모금회 지원사업으로 그룹홈 역량강화사업을 진행하였다. 순회교사 또는 대체인력을 파견함으로 아동청소년과 생활교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바, 생활교사들의 소진이 감소되는 것이 드러났으며 아동청소년 또한 새로운 관계에 대한 안정감이 나타났다. 양적연구/t-tesr(시계열) ; 내용분석 2. "그룹홈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전준현, 이수천, 2008, 「청소년연구」 2.. 더보기 사회복지통계연구소를 활용하는 방법 사회복지통계연구소는 사회복지연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합니다. 자신에게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1. 통게(통계)를 통채로 구워먹자 사회복지조사에 필요한 실전통계를 익힐 수 있다. 코딩,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다룬다. 기초적인 이론과 더불어 실전응용위주로 정복한다. 적어도 사회복지를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겪게 될 통계의 기본은 실제적으로 다뤄본다. 하루에 3시간씩 5일을 할애하면 통게(통계)를 통째로 구워먹을 수 있다. 개인별 신청은 곤란하고 팀을 만들어 신청해야 한다. 필요대상 : 사회복지대학원생,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생 2. 날로 먹는 연구실전! 사회복지연구는 이론으로 배우기 보다는 실제 연구를 .. 더보기 사회복지통계연구소 대표 인사말 사회복지를 연구하다보면 '어떻게 해야 하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라는 커다란 벽(壁)을 하나 만나곤 한다. 이쯤되면 머리가 하얗게 되면서 연구할 엄두가 나질 않게 된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사회복지조사론이나 사회복지자료분석론이라는 과목을 배우는데도 불구하고 연구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고민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연구가 어떤 방법과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지 고민하면서 공부한 사람은 사회복지연구가 그저 피상적인 어려움을 갖게 하는 괴물덩어리는 되지 않는다. 하지만 학과를 통해서 연구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한다는 것 역시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아울러 통계가 주는 중압감이 있다. 한번도 해보지 않았는데 하는 두려움이 더해지면서 통계라면 따로 전문가가 해야 할 것은 생각에 아예 발.. 더보기 이전 1 다음